법적으로 어른의 나이가 되고나서도 아, 나 이제 으른!이라고 느껴진 적이 별로 없었다.
대학 때 시험을 끝마치고 (아마도 망치고) 해가 진 캠퍼스에서 맥주를 몰래 홀짝이던 때에는 아, 나 이제 대학생이구나? 라고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른이 된 것 같은 느낌은 아니었다.
졸업하고 통장에 매달 들어오는 돈이 생겨도, 운전을 시작해도 그냥 새로운 루틴이 생긴 것이었을 뿐 좀처럼 그런 기분은 들지 않았다. 나와 내가 생각하는 어른 사이에 까맣고 두꺼운 줄이 그어져 있는 것 같이. 벽까지는 아니라 아마도 슥 넘어갈 수는 있는데, 내 의지로 안넘는 것인지 못 넘고 있는 것인지는 모를 바닥에 깔린 선처럼?
그러다가 올해 여름 부모님이 나를 방문하고, 말이 안통하는 나라에 오셨으니 나에게 전적으로 의지할 때, 그리고 그 상황에서 내가 생각보다 무리없이 척척 계획한 일정으로 이끌 때 그런 생각이 문득 들었다. <아 나도 이제 어른인가?> 부모님을 뒷자석에 모시고 여기서 저기로 라이드도 하고, 두 분을 대기석에 앉혀놓고 렌트카도 가져오고, 국립공원으로 바다로 레스토랑으로 모시고 다니면서 이걸 내가 혼자서도 무리없이 하다니 은근히 신기하며 으쓱했다.
그리고 부모님과 2주라는 시간을 한 공간에서 지내니 당연히(?) 언성이 오가기도 했고 나는 내 목소리를 내는 것에 의무감을 느꼈을 때, 그리고 그걸 실천했을 때도 내가 머리가 많이 컸다는 생각이 들었다.
사실 이 글을 쓴 이유는 최근에 또 그런 모먼트가 있었다. 바로 생에 처음 나만의 김장을 했을 때. 김장이랄 것까지 없는 비록 두 포기의 규모였지만, 그래도 김장철에 했으니 김장으로 치자. 김치를 직접 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는 이미 사와버린 수육용 돼지고기였다. 찬 공기가 감도는 이 날씨에 몇년 째 못먹고 있는 김장김치 속과 함께 먹고 싶은 충동을 모른 척 할 수 없었다! 비록 시작부터 끝까지 안걸던 영상통화까지 걸어가며 엄마한테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. 내 인생에 김장이라고는 엄마가 할 때 충실한 조수의 역할을 했던 것 뿐이었는데, 이걸 내가 주관하다니 나 이제 누가봐도 어른이잖아? 김치 속의 간을 볼 때는 엄마와 같이 살때 간보던 실력으로 그 쨍하고 강렬한 맛을 기억하면서 맛을 맞추어 갔다. 그리고 심지어 꽤나 맛있게 되었다. 엄마의 김치 맛이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.. 그렇지만 어쨌든 이것은 오롯이 나의 것이다.
그래서 나는 아마도, 비로소, 드디어 어른이다. 한참 늦은것 같지만, 그래도 어른이 된다는 것은 꽤나 멋진걸~

'dailylif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목은 없음 (3) | 2024.10.02 |
---|---|
두번째 퇴사 단상 (3) | 2022.06.21 |
2022 상반기 (7) | 2022.06.01 |
2021 Year-end (4) | 2022.01.07 |
2021 thanksgiving dinner (3) | 2021.11.29 |